분류 전체보기101 독서법 분류 독서 스타일을 어떻게 가져 가는 것이 좋은가?항상 책을 읽어 가면서도 고민하는 부분이다. 내 경험으로는, 그냥 읽어 나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나에게 맞는 스타일이 생기는 것 같다.물론 책의 종류와 재미 여부에 따라 분명 달라지기는 한다.아래는 인공지능에 물어봤던 독서법의 유형이다. 자신이 어느 유형인지 한번 보시길..대표적인 독서법 전문가 6인의 독서법 비교전문가독서법 명칭핵심 특징적용 시점최진석 (철학자)사유 독서읽고, 멈추고, 생각하고, 질문하기철학, 인문, 역사책김미경 (강연가)큐레이션 독서모든 책을 다 읽으려 하지 말고 “내 삶에 필요한 문장”만 수집바쁜 직장인, 인사이트 중심이해성 (전 조선일보 기자)다독 속독한 주제에 대해 5~10권 빠르게 읽고 큰 흐름 파악자기계발, 사회 이슈 등 트렌.. 2025. 6. 22. 금요일 저녁... 회사가 거의 4.5일제 근무로 고착화?되어 버려서..금요일은 평소보다 조금 일찍 집에 올 수가 있다. 요즘은 예전처럼 불금이라고 술 약속을 잡는 경우도 거의 없어서집에 돌아오면 약간의 여유있는 저녁 시간을 가지고 있는데짜투리 시간을 활용해 보고자 금요일 퇴근 후 근처 도서관 방문을 시작해 보고 있다.직장인으로서 평일 저녁에 도서관을 방문한다는 것이 매우 낯설지만,노트북 하나 책 하나 들고 저녁 6시쯤 이른 저녁 후 도서관을 오면공부하는 학생들, 시험을 준비하는 것 같은 중장년층, 독서를 즐기는 노년까지다양한 계층과 커다란 책상에서 같이 앉아서 조용하게 보내는 이 시간이 힐링이 된다.역시 사람마다 그 기질이라는게 있는가 보다.나는 이게 편한 듯..몸음 피곤하지만정신의 피로를 도서관에서 푸는 중이다.. 2025. 6. 22. 『이기적 유전자』 – 생명의 본질을 유전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다 그 어렵다는 완독을 해냈다. 책을 피는 순간 불면증을 해소할 수 있는, 눈이 저절로 감긴다는 책을 .. 줄까지 치면서 읽었음. 『이기적 유전자』는 단순한 과학 교양서를 넘어, 생명에 대한 우리의 사고방식 자체를 전환시키는 강력한 문제작이다. 나온 지 한참 된 과학 고전 중의 하나이며.,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에 비견할 만큼 유명한 책.진화론을 유전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한 이 책은 “모든 생물은 유전자의 생존 기계다”라는 도발적인 명제로 시작해, 생명과 이기성, 협력, 이타주의 등 인간 본성의 근간을 과학적으로 조명한다. 도킨스는 생물이 유전자의 복제를 위한 수단이며, 이기적인 유전자들이 살아남기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하거나 경쟁한다는 설명을 설득력 있게 전개해 나간다.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 2025. 6. 22. 『안티프래질』 – 불확실성의 시대, 흔들리지 않고 성장하는 법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블랙스완으로 일약 현자로 떠오른 저자의 가장 핵심 역작『안티프래질(Antifragile)』은 충격을 견디는 수준을 넘어, 혼란과 예측 불가능성 속에서 오히려 더 강해지는 존재에 대한 탐구다. ‘취약함’(fragile)의 반대말이 단순한 ‘강함’이 아니라, ‘안티프래질’이라는 새로운 개념이어야 한다는 주장은, 그 자체로 독자의 생각에 도전장을 던진다. 이 책에서 탈레브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세상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철학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접근을 시도한다.가장 인상 깊었던 구절은 다음과 같다.“삶은 무작위성을 띄는 자극으로 이루어지며, 좋든 싫든 간에 과업으로 여겨야 할 대상은 아무 것도 없다. 스트레스의 근원을 해결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결과를 만들지는 않.. 2025. 6. 22. 『생각의 기술』 – 철학과 논리를 일상으로 끌어내는 지적인 안내서 코디 정 지음- 아주 재밌게 읽음. 역시나 한국인은 한국 저자의 책들이 보기 편하긴 한 것 같음- 학생 또는 자녀들에게 추천해 준다면 더욱 좋을 듯 논리학만 생각하면 짜증부터 나는데... 어렵고 따분하다고 여겨지지만, 『생각의 기술』은 그 고정관념을 부수고 일상에서 철학과 논리를 자연스럽게 연결 짓는 사고의 지도를 펼쳐 보인다. 저자 코디 정의 설명은 메 페이지마다 명쾌하고 간결하다. 그리고 핵심 내용은 굵은 글씨로 알아서 표시되어 있다. (물론 그래도 나는 줄치면서 읽는다)아리스토텔레스 이후 2300년을 이어온 철학적 논리학을 토대로, 연역법과 귀납법, 수사학 등 복잡하게 느껴졌던 개념들을 일상적 예시와 함께 쉽게 풀어낸다.이 책의 핵심은 "남과 소통을 하면서 나의 주장을 하려면(설득하려면) .. 2025. 6. 22. 이전 1 ··· 14 15 16 17 다음